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It won't hurt to try
[스프링 입문]14.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본문
스프링빈
여기서 helloController처럼
스프링 컨테이너 안에 있는 컨트롤러(@Controller)를 스프링 빈이라고 표현한다.
스프링 컨테이너 안에서의 클래스 의존관계
컨트롤러에서 서비스, 리포지토리에 접근하기 위해서
각각 스프링빈으로 만든다.
스프링 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컴포넌트화를 할 필요가 있는데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를 파보면 알겠지만 @Component가 붙어있는 컴포넌트 어노테이션이다.
기본적으로 스프링컨테이너에서 스프링빈을 등록할때 싱글톤으로 등록한다.
따라서 모두 같은 인스턴스이다.
예외설정으로 싱글톤이 아니게 설정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싱글톤으로 사용한다.
각각의 컴포넌트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이 @Autowired이다
컴포넌트 호출 범위
HelloSpringApplication의 위치가 hello.hellospring패키지 아래 있다.
demo패키지의 경우는 component 호출 범위 밖이다.
단축키
Cmd + b : 콘솔 클래스 파일이나 함수로 이동
300x250
300x250
'JAVA > 스프링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입문]16.회원 웹 기능 - 홈 화면 추가, 등록 (0) | 2021.08.09 |
---|---|
[스프링 입문]15.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0) | 2021.08.07 |
[스프링 입문]13.회원 서비스 테스트 (0) | 2021.08.07 |
[스프링 입문]12.회원 서비스 개발 (0) | 2021.08.05 |
[스프링 입문]11.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 (0) | 2021.08.0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