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won't hurt to try
[AWS-EC2]1.인스턴스 시작 본문
EC2인스턴스를 생성해보려고 한다.
가입절차는 생략,,,
단계1 : Amazon Machine Image(AMI) 선택
일단 공부용으로 생성하려고 하기때문에, 적당한 스펙으로 OK
빠른시작, AWS Marketplace카테고리에서 다양한 이미지 선택가능
※프리티어 : 1년간 무료로 사용가능
단계2 : 인스턴스 유형선택
일단 당연히 프리티어를 쓰겠지만,, 그래도 하나씩 확인해보자
-인스턴스 유형
지금 프리티어 인스턴스의 유형이 t2.micro라고 되어있다.
t | 인스턴스 패밀리 (패밀리코드) |
2 | 인스턴스세대 |
micro | 규모에 따른 이름 |
-인스턴스 스토리지 (GB)
EBS(Elastic Block Store)
• 일반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해당
• 네트워크에 연결된 블록 디바이스로 가상 디스크
(Network Block Storage As A Service)
• EC2 인스턴스가 사용할 블록 스토리지 볼륨
• EBS 볼륨은 가용 영역내 자동 복제(Mirroring)
※인스턴스 타입 및 표기법
※인스턴스 패밀리
단계3 :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중요한거만 한개씩 짚어보자
• 퍼블릭IP 자동할당 : 외부(인터넷)에서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인스턴스를 중지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퍼블릭IP와 인스턴스의 연결이 해제됩니다.
해제 되지 않는 영구적인 IP가 필요한 경우는 EIP(탄력적 IP)를 사용해야 합니다.
• 종료방식 : 중지와, 종료중에 고를수 있다. 중지는 os에서 shutdown을 했을때, 종료는 os를 아예 지워버렸을때를 의미한다. 디폴트인 중지로 합니다.
• 종료 방지 기능 활성화 : 우발적인 종료로부터 보호(체크)
인스턴스가 종료하게 되면 루트볼륨EBS도 종료가 되면서, 내용이 다 사라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종료되지 않게 체크를 해준다. 혹시 불안하다면 루트볼륨이 아닌 EBS를 인스턴스에 연결해서 내용이 지워지지 않게 한다.
• 테넌시 : 인스턴스가 실행되고 있는 하드웨어를 전용 하드웨어에 할것인지, 공동 하드웨어에 할것인지를 정한다. 추가요금이 발생한다.
공유됨 - 다른 유저와 하드웨어를 공유한다.
전용 - 나의 여러 인스턴스를 고정 하드웨어에 띄운다.
전용 호스트 - 나의 한개의 인스턴스를 고정 하드웨어에 띄운다.
단계 4: 스토리지 추가
루트볼륨은 당연히 기본으로 있고, 볼륨유형이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에 EBS볼륨을 추가하고 싶을경우 「새 볼륨 추가」를 눌러서 스토레지를 추가시켜준다.
루트 스토리지는 부팅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종료 시 삭제」의 디폴트값이 체크로 되어있다.
※프리 티어 고객은 최대 30GB까지 사용가능하므로 크기를 30으로 변경해준다.
단계5 : 태그 추가
태그는 인스턴스의 메타데이터를 key-value로 정의 하기 위해 쓰인다.
단계6 : 보안 그룹 구성
단계7 : 인스턴스 시작 검토
마지막으로 쭉 확인하고 시작하기
키페어 생성
기존의 키페어가 없기때문에 새 키 페어 생성을 한다.
키 페어 이름을 지정하고 키 페어 다운로드를 진행한다.
다운로드가 되고나서 인스턴스 시작을 하면 생성 완료!!!
인스턴스 상태 확인
인스턴스 연결하기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오른쪽위에 연결 버튼을 클릭
SSH클라이언트로 인스턴스에 연결한다.
4. 퍼블릭 DNS을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 예: 에 적혀있는 ssh 명령어로 접근한다.
연결되면 요런 느낌으로 나온다.
연결성공!!!
'인프라 > AWS-EC2'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EC2]2.EC2 기반 웹사이트 구축하기 (0) | 2021.10.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