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won't hurt to try
Deep-running - 1. What's AI 본문
1-1. 인공지능(AI)이란?
1.인공지능의 정의
1.1 인공지능이란 무엇일까
AI :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 추론(推論), 인식(認識), 판단(判断) 등의 인간과 같은 지적처리능력을 갖고 있는 기계(정보처리시스템)
※사실 인공지능의 정의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확히 정의를 내릴수는 없다. 하지만 위의 인용구는 대다수가 맞다고 생각하는 인공지능의 정의이다.
1.2 인공지능의 큰 분류
LEVEL | 항목명 | 내용 |
1 | 간단한 제어 프로그램 | 모든 행동이 미리 정해져있다. |
2 | 고전적인 인공지능 | 탐색・추론・지식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매우 복잡한 행동을 한다. |
3 | 기계학습을 적용한 인공지능 | 상당히 많은 샘플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학습 |
4 | 딥러닝을 적용한 인공지능 | 학습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어떤특징이 학습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중요하다. 예) 토지의 가격을 측정할때 토지의 넓이라는 특징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
1.3 AI효과
인공지능으로 새로운것을 실현하고, 그 원리를 아는 것으로 "그것은 단순한 자동화로 지능과는 관계없다"라는 결론을 내리는 인간의 심리를 AI효과라고 한다.
많은사람들이 인간특유의 지능으로 생각했던 것을 기계가 실현했을때, "그것은 지능이 아니야"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한다.
1.4 인공지능과 로봇의 차이
간단히 말하자면 인공지능은 로봇의 뇌에 해당한다.
인공지능의 연구는 "생각(지적인처리능력)"이라는"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중심으로 취급하는 학문이다.
1-2. 인공지능연구의 역사
1.인공지능연구의 역사
1.1 세계 최초 범용(General)컴퓨터의 탄생
1946年 : 미국의 펜실베니아대학에서 ENIAC이라는 위대한 전산기가 개발되었다.
이때부터 언젠가는 컴퓨터가 인간의 능력을 능가할 가능성이 보였다.
1.2 다트머스 회의(Dartmouth Conference)
1956年 : ENIAC이 생기고 10년뒤, 미국에서 다트머스 회의가 열였다.
이 회의에서 '인공지능'이라는 단어가 처음 쓰이기 시작했다.
Allen Newell과 Herbert Simon이 Logic Theorist(ロジック・セオリスト)를 데몬으로 공개하면서
수학을의 정리를 자동으로 하는 기능을 선보임
1.3 인공지능연구의 황금기(ブーム)과 암흑기(冬)
구분 | 기간 | 내용 |
1차AI황금기 : 탐색・추론의 시대 | 1950년후반~1960년대 | •컴퓨터로 인한 탐색・추론 연구가 진행되고,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 답을 제시하는게 요인이 되서 황금기가 열림 •간단한 문제를 풀수 있었음 |
2차AI황금기 : 지식의 시대 | 1980년대 | •컴퓨터에 지식을 넣으면 현명하게 된다는 접근으로 황금기가 열림 •데이터베이스에 대량의 정보를 모아서 저축한 전문가시스템이라는 실용적인 시스템이 많이 만들어짐 •하지만 지식을 축척하고 관리하는것이 어렵다라고 문제가 제기되면서 1995년부터 암흑기를 거친다. •일본에서는 第五世代コンピュータ라는 대형프로젝트를 추진했다. |
3차AI황금기 : 기계학습・특징표현학습의 시대 | 2010~현재 | •빅데이터의 사용으로 인공지능의 기계학습이 실용화 되었다. •지식을 정의하는 요소(특징)를 인공지능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 심층학습 •기술적 특이점(Singularity)에 대한 걱정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인공지능 > Deep-run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 공부 페이지 (0) | 2020.11.08 |
---|---|
G검정 파일 (0) | 2020.11.05 |
Deep-running - 2. Trends in AI (0) | 2020.09.23 |
Deep-running - 0.Start (0) | 2020.09.22 |